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.
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,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.

나진 화이트 실드

덤프버전 :

파일:상위 문서 아이콘.svg   상위 문서: OK저축은행 브리온



파일:external/ognglobal.files.wordpress.com/c2a6c2ac-c2b0c2bbc2a6s.png
나진 화이트 실드
NaJin White Shield
창단2012년 2월 14일
팀명Extreme Dive Gaming(2011~2012)
NaJin e-mFire(2012)
NaJin Shield(2012~2013)
NaJin White Shield(2013~2014)
이후 NaJin e-mFire로 통합
팀 컬러
[ 펼치기 · 접기 ]

팀 컬러

1. 개요
2. 주요 성적
3. 선수단
4. 역사
4.1. 2012 시즌
4.2. 2013 시즌
4.3. 2014 시즌
5. 전 소속 프로게이머
6. 주요 성적
7. 기타


1. 개요[편집]


대한민국의 전 나진 e-mFire 소속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임단.

한국의 유명한 리그 오브 레전드 클랜이었던 EDG[1]가 그 전신이다. 팀 이름이 실드인 것은 수비적인 성향을 띠어서라는데 2014 시즌 들어서는 별 의미는 없다.

2014 롤드컵 조별 리그 얼라이언스전에서 퍼펙트 게임으로 털리고 다진 퍼펙트 실드라는 별명이 생기더니, 8강 OMG전 이후로는 다진 퍼펙트 실버[2]라는 불명예까지 얻었다.

팀 약자는 NWS.[3]

롤챔스 통산 114전 56승 58패 승률 49.1%[4]

2. 주요 성적[편집]


역대 롤챔스/NLB 성적
2012 Spring2012 Summer2012-2013 Winter2013 Spring2013 Summer2013-2014 Winter2014 Spring2014 Summer
롤챔스8강16강12강8강8강4위준우승8강
NLB--3위2위3위--3위


3. 선수단[편집]


NaJin White Shield
파일:attachment/나진 화이트 실드/njwshield.jpg
감독박정석
Reach
코치채우철
viNylCat
김대웅
MOKUZA
로스터
파일:TOP_icon_black.png
TOP
파일:crwn.png 파일:대한민국 국기.svg 백영진
Save
[5]
파일:JGL_icon_black.png
JGL
파일:대한민국 국기.svg 조재걸[6]
Watch
파일:MID_icon_black.png
MID
파일:대한민국 국기.svg 유병준[7]
Ggoong
파일:ADC_icon_black.png
BOT
파일:대한민국 국기.svg 이재민
Zefa
[8]
파일:SUP_icon_black.png
SPT
파일:대한민국 국기.svg 강범현
GorillA
파일:대한민국 국기.svg 김진선
Pure
[9]

4. 역사[편집]



4.1. 2012 시즌[편집]


파일:상세 내용 아이콘.svg
  "display: none; display: 문단=inline"를
의 [[나진 실드/2012 시즌#s-"display: inline; display: 앵커=none@"
@앵커@@앵커_1@ 부분을
참고하십시오.


4.2. 2013 시즌[편집]


파일:상세 내용 아이콘.svg
  "display: none; display: 문단=inline"를
의 [[나진 화이트 실드/2013 시즌#s-"display: inline; display: 앵커=none@"
@앵커@@앵커_1@ 부분을
참고하십시오.


4.3. 2014 시즌[편집]


파일:상세 내용 아이콘.svg
  "display: none; display: 문단=inline"를
의 [[나진 화이트 실드/2014 시즌#s-"display: inline; display: 앵커=none@"
@앵커@@앵커_1@ 부분을
참고하십시오.


5. 전 소속 프로게이머[편집]


  • 윤하운(Maknoon) - 2012년 섬머시즌에 나진 블랙 소드로 이적.
  • 이우석(Hiro) - kt 롤스터 A로 이적.
  • 채우철(viNylCat) - 은퇴 후 나진 e-mFire 플레잉코치로 전향.
  • 김남훈(Hoon) - ahq Korea로 이적.
  • 김대웅(Mokuza) - 건강문제로 은퇴. 완쾌 후 나진 e-mFire 코치로 전향.
  • 배준식(Bang[10]) - 제닉스 블라스트로 이적 - SKT T1 S로 이적
  • 김기범(Raoching) - 임시멤버. 시즌 1 랭킹 1위 출신의 유명 랭커. 모쿠자의 갑작스런 입원으로 인한 공백을 메우기 위해 컨디션 헛개수 NLB Winter 2012-2013 4강부터 합류했었다. 컨디션 헛개수 NLB Winter 2012-2013 4강과 3/4위전, OLYMPUS Champions Winter 2012-2013 시드 결정전에 출전하였다. 정식 멤버로의 제의도 받은 것으로 보이나 자신은 아직 학생이기 때문에 생각할 시간이 필요하다며 거절했다고 한다. 그리고 이후 인벤에 들어가서 주말마다 개인방송을 하고 있다...!? 아무래도 부담감이 큰 프로게이머보단 즐겜유저로 활동하면서 돈 버는 쪽을 선택한 것으로 보인다. 실질적 승리자
  • 이재완(a wolf) - CTU로 이적후 SKT T1 S로 이적
  • 정인철(Chopuu[11]) - 나진에서 제의가 와서 합숙하려 했는데 하필 마재윤이 졸업했던 학교여서 허락을 받지 못했다.선견지명 그 외 여러 사정으로 팀을 나왔다.출처 팀에 합류하자 마자 NLB 스프링에 나가 전승우승을 하였다. 윈터시즌에 출전했는데 트롤링 문제로 몰수패당했다.
  • 최윤섭(Locodoco) - Quantic Gaming으로 이적.
  • 정노철(NoFe) - 2014년 2월 5일 은퇴.
  • 신우영(Seraph) - 계약 만료로 팀 탈퇴. 이후 2014년 5월 CLG에 입단.
  • 강범현(GorillA) - 2014년 11월 1일자로 탈퇴 의사를 밝힘.


6. 주요 성적[편집]


EDG
기간순위대회결과획득 상금
2011.07.28우승WCG Summoner`s Battle Arena2:0Team OP₩ 1,000,000
2011.11.12우승WCG 2011 한국 대표 선발전2:1MiG
2011.11.303~4위인벤 올스타 토너먼트0:2MiG
2011.12.115~8위WCG 2011 Grand Finals1:2exGameburg Team
2011.12.305~8위CLG's Last Call0:1에픽 게이머
2012.01.314위리그디스 네임드 초청 토너먼트0:2MiG Blaze
2012.02.103~4위온게임넷 LOL 인비테이셔널1:2조별 리그
NaJin White Shield
기간순위대회결과00 상금
2012.02.25우승인벤 네임드 챔피언십2:1MiG Frost₩ 3,000,000
2012.04.185~8위Azubu the Champions Spring 20121:2MiG Frost₩ 4,500,000
2012.07.039~16위Azubu the Champions Summer 20121:2조별 리그₩ 4,000,000
2012.11.073~4위GIGABYTE StarsWar League0:3Team WE¥ 5,000
2012.11.112위IPL 5 LoL 한국대표 선발전0:3Azubu Blaze
2012.12.229~12위OLYMPUS Champions Winter 2012-20131-3-2조별 리그₩ 10,000,000
2013.01.293위컨디션 헛개수 NLB Winter 2012-20133:2MVP Blue₩ 1,500,000
2013.02.155~6위LOL 클럽 마스터즈0-1-1조별 리그₩ 1,000,000
2013.03.023~4위MLG 2013 Winter Season Championship 한국대표 선발전0:2kt Rolster B
2013.03.217~12위GIGABYTE StarsWar League Season 21-1-3조별 리그
2013.05.085~8위OLYMPUS Champions Spring 20130:3SK telecom T1 #2₩ 12,000,000
2013.06.142위이엠텍 NLB Spring 20130:3NaJin Sword₩ 2,000,000
2013.06.292위제 2회 LOL AMD 챔피언십 프로팀 최강전1:2MVP Ozone₩ 3,000,000
2013.08.095~8위HOT6 Champions Summer 20130:3CJ Entus Frost₩ 10,000,000
2013.08.243위GIGABYTE NLB Summer 20133:0Jin Air Greenwings Falcons₩ 1,000,000
2013.10.173~4위WCG 2013 한국 대표선발전0:2CJ Entus Blaze
2014.01.154위PANDORA TV Champions Winter 2013-20141:3kt Rolster Bullets₩ 18,000,000
2014.05.242위HOT6 Champions Spring 20141:3Samsung Galaxy Blue₩ 40,000,000
2014.07.165~8위HOT6 Champions Summer 20142:3kt Rolster Arrows
2014.08.073위IT ENJOY NLB Summer 20143:2Jin Air Greenwings Stealths₩ 2,000,000
2014.08.301위리그 오브 레전드 2014 월드 챔피언십 선발전3:1SK telecom T1 K-
2014.10.065~8위리그 오브 레전드 2014 월드 챔피언십0:3Oh My God$ 75,000

7. 기타[편집]


  • 2012 서머 이후로 보여준 안 좋은 모습 때문에 다른 팀들이 그날 경기에서 패배하면 '어서오세요.'라고 반갑게 맞아주는 ??? 의 역할을 맡기도 했다. 항상 훈과 엑스페션의 사진과 함께 김장훈의 친구여가 BGM으로 깔리는게 특징. 어서오세요

파일:CC-white.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-11-18 01:58:22에 나무위키 나진 화이트 실드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.


[1] 중국의 EDG와는 관련없다.[2] 0:3 영봉패라는 가히 굴욕적인 스코어다.[3] 화이트의 경우 나진 소드나 나진 실드나 영어 중계를 하게되면 NaJinS가 되버리는 문제가 있어서 그것을 구분하기 위해 각각 블랙과 화이트를 부여한 것이라고 한다. 그렇기 때문에 팀을 부를 땐 나진 화이트 실드가 아닌 나진 실드라고 불러달라는 나진 관계자의 이야기도 있다.[4] 롤챔스 통산 다승 6위.[5] 舊 아이디 Yellout.[6]하이트 스파키즈 소속이였던 前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.[7]삼성전자 칸 소속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.[8] 카오스에서는 지단으로, 와우에서는 츠키요미로 유명했다.[9] 전 Prime Miracle, 진선조으다[10] 舊 아이디 준식짱123.[11] 전 아이디 아네모네